본문 바로가기
daily

등 결림 현상, 담 걸리는 이유 및 푸는 방법

by O.D.T 2023. 1. 7.
반응형

등 결림, 담 걸리는 원인은?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몸을 삐끗하거나 넘어지면서 신체에 무리를 주면서 근육의 통증이나 내외측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저처럼 무리한동작, 넘어지거나 삐끗한적이 없음에도 담이 걸리거나 결림현상이 발생하는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이런증상들은 갑작스레 선물처럼 찾아오지않습니다. 우리의 몸은 컴퓨터와같이 데이터가 누적된다고 보시면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바르지못한 자세, 운동방법, 평소 생활습관들이 우리 신체에 데이터가 누적되어있다고 보시면됩니다. 특히나 허리, 등, 어깨의 결림현상, 담이 걸리는이유가 바로 평소 생활습관에서 발생된다고보시면됩니다. 

흔히 담, 결림증상을 근막통증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근육의 수축이 반복되다가 일시적으로 근육이 심하게 당기는 통증을 이야기합니다.

생활습관외에서도 잠을 잘못된 자세로 잤을 때, 무리한 운동을 했을 때, 과로로 인한 피로도 누적 및 극심한스트레스 등으로 특정 부위의 근육이 뭉치고 혈액순환이 되지않아 근육이 당기는 통증이 심하게 느껴집니다. 

아마 요즘 현대사회인이라면 결림 및 담 걸리는 현상이 자주 있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장시간사용으로 인한 좋지않은 자세, 회사에 또는 집에서 컴퓨터할때 좋지못한 자세등이 습관화되어있기때문입니다. 근본적인원인은 자세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림, 담 푸는방법은? 

결림 및 담을 푸는방법은 여러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근육지압, 스트레칭, 찜질, 반신욕 등이 있습니다. 

먼저 근육지압으로 통증부위와 주변의 근육을 손, 마사지건 등으로 지압해주는 것입니다. 목이나 어깨, 허리부분의 통증부위는 본은 스스로 손으로 직접 지압하여 풀어줄 수 있습니다. 다만 등부위나 손이 닿지 않는 부위의 지압은 가족이나 지인에게 도움을 청해야겠습니다. 

 

다음은 어디서든 가능한 스트레칭입니다. 스트레칭을 일상화한다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바쁜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스트레칭마저 귀찮고 힘들어 외면하게되죠. 여튼 통증부위의 고통완화에는 스트레칭이 제일 좋습니다. 목부분으 스트레칭은 목을 가볍게 지압해주면서 좌, 우, 위, 아래로 크게 원을 천천히 그리면서 스트레칭해주면 좋고, 한쪽 어깨를 밑으로 힘주면서 내림과 동시엠 목의 방향은 반대쪽으로 쭉 당겨주면서 스트레칭해주는것도 효과적입니다. 어깨와 등부위는 손을 깍지를 끼고 만세자세를 한 후좌, 우, 앞, 뒤로 천천히 숙이거나 당겨줍니다. 스트레칭은 빠르고 간결하게 하는 행동이 아닙니다. 아주 천천히 움직이면서 본인이 참을수 있는 범위내에서 스트레칭하는것이 효율적입니다. 평상시에 스트레칭을해서 통증을 예방한다면 문제가 안되겠지만, 통증이 발생된 후의 스트레칭은 두배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통증이 수반되는데 참아내며 진행을 해야하기때문이죠. 아프다고 방치해둔다면 더 심한고통으로 발전 될 수 있기때문에 초반에 지압이나 스트레칭으로 완화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찜질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습니다. 통증부위의 온찜질이나 반신욕등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원래의 몸 컨디션으로 돌아가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냉찜질의 경우는 근육통을 유발하는 젖산 분해에 효과적이어서 빠르게 담을 푸는데 도움이 될 수있습니다. 특히 무리한 운동을 한 이후 냉찜질, 냉샤워는 근육의 진정을 도와주기때문에 통증 및 염증을 사전에 예방 할 수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스트레칭, 마사지, 지압, 찜질등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버티지말고 병원으로가서 물리치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저절로 낫는 병은 없기때문에 개인의 노력으로 되지 않는다면 병원의 처방이나 물리치료로 빠르게 회복하는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담이 걸렸을때, 결림현상에 대해서 원인과 푸는방법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좋은것은 평소의 생활습관입니다. 올바른자세로의 업무, 올바른 수면자세, 올바른 자세의 운동습관과 평소 스트레칭의 생활화로 건강한 신체의 유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